foxkim75 님의 블로그

foxkim75 님의 블로그 입니다.

  • 2025. 10. 30.

    by. foxkim75

    목차

      1️⃣ 배당ETF의 시대 - 제2의 월급 만들기의 핵심

      2025년, 미국 시장에서 ‘배당ETF(Dividend ETF)’는 단순한 투자 수단을 넘어 ‘현금흐름 자산’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특히 금리 고점이 지속되면서 현금흐름형 투자자산에 대한 관심이 폭발적으로 늘었죠.
      예금이자보다 높고, 주식보다 안정적이며, 매달 혹은 분기마다 꾸준한 배당을 받는 ETF는

      이제 ‘제2의 월급통장’으로 불립니다.

       

       

      💡 배당ETF란?
      Exchange Traded Fund, 즉 ‘상장지수펀드’ 중에서도 고배당주나 안정적 현금흐름 기업에 집중 투자하는 상품을 말합니다.
      쉽게 말해,

      “고배당 기업들을 한 바구니에 담아 자동으로 배당금을 나눠 받는 구조”

       

      은행이 이자를 주는 것처럼, ETF는 배당을 지급합니다.
      이 중에서도 가장 유명한 두 ETF가 바로 SCHD(Schwab U.S. Dividend Equity ETF)

      JEPI(JPMorgan Equity Premium Income ETF) 입니다.

      이 둘은 ‘배당ETF의 양대 산맥’이라 불리며, 성격은 다르지만 목적은 같습니다.
      “노동 없이 안정적인 현금흐름 만들기”


      2️⃣ SCHD란? - ‘정통 배당ETF’의 정석

      SCHD는 미국 찰스슈왑(Charles Schwab)사가 운용하는 대표 고배당 ETF입니다.
      정식 명칭은 “Schwab U.S. Dividend Equity ETF”, 2025년 기준 운용자산 규모(AUM)는 약 600억 달러 이상
      ETF 전체 순위 Top 10에 들 정도로 압도적인 인기를 자랑합니다.

       

      📊 기본 정보 (2025 기준)

      • 운용사: Charles Schwab
      • 설정일: 2011년 10월
      • 운용자산: 약 650억 달러
      • 배당률: 약 3.5% ~ 4%
      • 배당주기: 분기별(3·6·9·12월 지급)
      • 총보수(Expense Ratio): 0.06%

      특징 요약

      • 고배당주 중심의 안정적 포트폴리오
      • 성장주보다는 ‘꾸준히 이익 내는 기업’ 선호
      • 장기투자 시 복리효과 극대화

      📈 포트폴리오 구성 상위 종목 (2025년 10월 기준)

      1. 브로드컴 (AVGO)
      2. 애브비 (ABBV)
      3. 코카콜라 (KO)
      4. 메르크 (MRK)
      5. 펩시코 (PEP)
      6. 시스코 (CSCO)
      7. 홈디포 (HD)
      8. IBM
      9. 애머슨 일렉트릭
      10. 블랙록

      이 종목들을 보면 공통점이 보이죠.
      “경기변동에도 강하고, 배당이 끊기지 않는 기업”. 즉, SCHD는 배당과 안정성, 두 마리 토끼를 잡는 ETF입니다.


      3️⃣ JEPI란? - ‘월배당 ETF’의 혁명

      JEPI(JPMorgan Equity Premium Income ETF)는 JP모건에서 출시한 ‘프리미엄 인컴형 ETF’로,
      단순히 주식 배당이 아니라 옵션 프리미엄(콜옵션 매도수익)까지 함께 얻는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 기본 정보 (2025 기준)

      • 운용사: JP Morgan Asset Management
      • 설정일: 2020년 5월
      • 운용자산: 약 320억 달러
      • 배당률: 7% ~ 10%
      • 배당주기: 월별 지급
      • 총보수: 0.35%

      💡 JEPI의 구조 한눈에 보기

      [기본 주식 포트폴리오 80%] + [커버드콜 옵션 전략 20%]

       

      즉, 주식을 보유하면서 동시에 콜옵션을 판매해 그 프리미엄(수수료)을 배당처럼 투자자에게 지급하는 방식입니다.

       

      🎯 핵심 장점

      • 매달 ‘현금흐름’ 발생 (월배당 ETF)
      • 시장 변동성에 강함 (방어적 성격)
      • 변동장세에서 오히려 수익이 안정됨

      📈 상위 구성 종목 (2025년 기준)

      1. 마이크로소프트 (MSFT)
      2. 애플 (AAPL)
      3. 유나이티드헬스 (UNH)
      4. 홈디포 (HD)
      5. 코카콜라 (KO)

      하지만 JEPI의 진짜 매력은 종목보다 전략의 독창성에 있습니다.
      ‘주가가 오르지 않아도, 옵션 프리미엄으로 수익을 얻는 구조’ 덕분에

      배당률은 SCHD보다 2~3배 높은 7~10% 수준을 유지합니다.


      4️⃣ SCHD vs JEPI -구조와 성격의 차이


       항목                                          SCHD                                              JEPI

      배당주기 분기별 월별
      평균 배당률 3.5~4% 7~10%
      운용전략 고배당주 보유 커버드콜 프리미엄 수익
      성장성 중장기 우상향 횡보장에서도 안정적
      리스크 낮음 중간
      수익 형태 기업 배당 배당 + 옵션 프리미엄
      투자자 성향 장기 보유형 월 현금흐름 추구형

      결국 SCHD는 ‘전통적인 배당투자자용’, JEPI는 ‘현금흐름 중시형 투자자용’으로 나뉩니다.
      둘 중 어느 게 더 낫다고 단정 짓긴 어렵습니다.

       

      📈 요약하자면

      • SCHD = 배당도 꾸준하고, 자본차익도 가능
      • JEPI = 주가가 안 올라도 배당이 많고 안정적

      즉, 두 ETF를 함께 보유하면 “성장 + 배당 + 안정성”의 3박자를 완성할 수 있습니다.


      5️⃣ 실제 배당 예시 -월급처럼 받는 현금흐름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2025년 10월 현재, SCHD의 배당률은 약 3.8%, JEPI는 약 8.5% 수준입니다.

       

      💵 가정: 각각 1만 달러씩 투자했을 때 예상 배당금

      ETF                               투자금                                연 배당률                 연 배당금                           지급주기
      SCHD $10,000 3.8% 약 $380 분기별
      JEPI $10,000 8.5% 약 $850 매월

      💬 즉, 두 ETF를 합쳐 2만 달러(약 2,700만 원) 투자하면 연간 약 1,200달러(약 160만 원) 수준의 배당을 받게 됩니다.
      매달 13만 원 정도의 현금흐름이 생기는 셈이죠. 이런 구조 때문에 미국 개인투자자들은

      “JEPI + SCHD = 내 은퇴 월급통장”
      이라 부릅니다.


      6️⃣ 세금과 환율, 국내 투자 시 유의점

      국내에서 미국 ETF를 투자할 때는 세금환율을 반드시 고려해야 합니다.

       

      📌 세금 구조 (한국 기준)

      • 해외 ETF 배당소득: 미국 원천징수 15% + 국내 15.4% 과세
      • 매매차익: 금융소득으로 별도 분리 과세 (해외주식 양도세 22%)

      따라서 배당금은 실수령 시 약 25~27% 정도가 세금으로 빠집니다.
      예를 들어 JEPI에서 $850 배당을 받으면, 실제 수령액은 약 $630 수준입니다.

       

      💱 환율 리스크

      • 달러 강세일수록 배당금 원화환산 금액이 증가
      • 반대로 달러 약세 시 실질 수익률 감소

      팁:

      • 장기 보유 시 환율 리스크는 자연스레 분산
      • 달러 예금과 병행 투자하면 안정성 향상

      7️⃣ 포트폴리오 구성 전략 - 두 ETF를 함께 담는 법

      두 ETF는 상호보완적인 관계이므로, 비중 조합에 따라 안정성과 수익성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 추천 포트폴리오 예시 (2025 기준)

      투자자 성향               SCHD비중        JEPI 비중         특징
      안정형 70% 30% 안정적 배당 + 성장성 확보
      중립형 50% 50% 배당과 수익 균형
      공격형 30% 70% 높은 현금흐름 + 변동성 감수

      💬 “SCHD는 밭이고, JEPI는 과수원이다.” SCHD는 장기적으로 자본을 불려주는 기반이고,

      JEPI는 매달 과실을 따는 수입원입니다.
      이 둘을 조화롭게 섞으면 ‘배당 성장 포트폴리오’가 완성됩니다.


      8️⃣ 2030년을 위한 현금흐름 자산 설계

      2030년, 금리와 인플레이션이 다시 안정될 때 주식시장은 또 한 번 순환 국면을 맞을 것입니다.
      이때 중요한 건 자본이 아닌, 현금흐름입니다.

      “노후의 자유는 수익률이 아니라, 현금흐름이 결정한다.”

       

      SCHD와 JEPI는 그 현금흐름을 만들어주는 대표적 도구입니다.

       

      📈 SCHD로는 꾸준한 배당 성장,
      💵 JEPI로는 즉각적인 현금흐름을 확보할 수 있죠.

      결국, 두 ETF를 병행한다면 “노동으로 버는 월급 + 배당으로 받는 월급”이라는

      이중 월급 구조(Double Income Flow) 를 실현할 수 있습니다.


      🧩 핵심 정리

       구분                                                       SCHD                                                   JEPI
      배당주기 분기 월별
      배당률 3.8% 8~10%
      리스크 낮음 중간
      장점 안정성, 성장성 현금흐름, 방어력
      권장 비중 50% 50%
      추천 투자 기간 3년 이상 1년 이상

      💬 결론:

      “배당ETF는 단기 트레이딩이 아닌, 인생 전략이다.”
      SCHD와 JEPI로 당신만의 제2의 월급통장을 만들어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