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xkim75 님의 블로그

foxkim75 님의 블로그 입니다.

  • 2025. 10. 28.

    by. foxkim75

    목차

      1️⃣ APEC이란 무엇인가? – 21개국이 만든 경제협력의 플랫폼

      APEC(Asia-Pacific Economic Cooperation,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은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자유무역과 경제통합을 목표로 한 다자간 협의체입니다.
      1989년 호주 캔버라에서 처음 창설되어,현재는 미국·중국·일본·한국·호주·캐나다 등 21개 회원국이 참여하고 있습니다.

       

       

      📊 APEC의 핵심 목표 3대 축
      1️⃣ 무역 및 투자 자유화
      2️⃣ 경제·기술 협력 강화
      3️⃣ 지속 가능한 포용 성장

       

      특히 APEC은 WTO(세계무역기구)나 G20과 달리, 법적 구속력이 없는 ‘비공식 협의체’이지만,
      각국 정상들이 직접 만나 정책 방향을 논의하는 만큼 “아시아태평양판 다보스 포럼”이라 불리기도 합니다.

       

      💬 의장국 순환제
      APEC은 매년 회원국이 돌아가며 의장국을 맡습니다.
      의장국은 정상회의를 주최하고, 회의 의제·성명서·실행 계획을 총괄합니다.

      👉 2025년 APEC 의장국: 페루(Peru) 🇵🇪
      👉 회의 개최 도시: 리마(Lima)
      👉 회의 기간: 2025년 11월 15일 ~ 17일


      2️⃣ 2025년 APEC 정상회의 개최 배경

      2025년은 세계 경제가 ‘포스트 팬데믹 안정기’를 넘어 ‘인공지능·기후·공급망’이라는 새로운 3대 패러다임으로

      재편되는 시기입니다.
      이에 따라 APEC의 논의 초점도 단순한 무역 확대를 넘어, 지속 가능한 기술 성장과 지역 균형 발전으로 이동했습니다.

       

      📍 페루가 의장국으로 선정된 이유

      • 남미권 APEC 회원국(페루·칠레·멕시코) 중 경제성장률이 가장 높음
      • 태평양 연안국가로서 아시아-남미 간 교역 허브 역할 가능
      • ‘포용적 디지털 전환’을 주제로 국제사회에서 리더십 확대 의지

      📍 2025년은 APEC 창립 36주년
      올해 회의는 APEC의 새로운 10년 전략을 결정짓는 중요한 분기점입니다.
      특히 2020년대 중반 이후, 미국과 중국 간 기술패권 경쟁이 심화되는 가운데
      APEC은 ‘갈등을 완화하고 협력의 균형을 유지하는 중재자적 역할’을 기대받고 있습니다.

       

      💬 페루 외교부 공식 메시지 (2025년 3월)

      “우리는 APEC을 통해 기술이 인간의 삶을 풍요롭게 만드는
      새로운 경제 모델을 구축할 것이다.”


      3️⃣ 2025년 APEC의 핵심 의제 TOP 5

      2025년 리마 회의에서 다뤄질 주요 의제는 다음 다섯 가지로 요약됩니다.

      🌍 1. 지속 가능한 기후·에너지 전환 탄소감축 공동 목표, 친환경 산업 협력
      🧠 2. AI 및 디지털 경제 협력 인공지능 윤리기준, 데이터 보안 협약
      🔗 3. 글로벌 공급망 복원력 강화 반도체·희토류·식량 공급 안정화 방안
      📦 4. 중소기업·스타트업 지원 APEC 청년창업 펀드 확대
      🕊️ 5. 포용적 성장과 인적교류 비자 완화, 청년 인턴십 프로그램 확대

      이 중에서도 특히 AI·디지털 전환 의제는 한국, 일본, 미국 등 기술 강국들이 적극 주도하고 있으며,
      ‘APEC 디지털윤리헌장(Digital Ethics Charter)’이 채택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또한 기후·에너지 전환 부문에서는 한국이 주도하는 ‘수소경제 협력 네트워크’와 호주가 추진하는

      ‘재생에너지 연계망 프로젝트’가 핵심 안건으로 다뤄질 예정입니다.


      4️⃣ 미국·중국·한국의 전략적 입장

      2025년 APEC 무대는 단순한 경제협력 회의가 아니라, 미국과 중국의 기술패권 경쟁이 직접 부딪히는 외교 무대가 될 전망입니다.

      🇺🇸 미국

      • 인공지능·반도체·디지털 무역 규범을 중심으로 주도권 강화
      • 인도·태평양 경제 프레임워크(IPEF)와 연계 추진
      • 공급망 안정화 및 탈중국 전략 지속

      🇨🇳 중국

      • APEC을 통한 미국 견제 및 ‘포용적 아시아 경제’ 강조
      • 일대일로(一帶一路) 재활성화 및 남미 진출 확대
      • 디지털 위안화 및 AI 데이터 연동 협약 제안

      🇰🇷 한국

      • 중립적 협력자로서 기술·기후·AI 분야 리더십 강화
      • 반도체 공급망과 수소경제 분야에서 조정자 역할 수행
      • 2025년 APEC ‘AI 윤리 가이드라인’ 공동 초안 제시 예정

      💬 외교부 고위 관계자 코멘트 (2025.09)

      “한국은 기술과 신뢰, 두 축을 모두 갖춘 국가로서
      미·중 간 협력의 가교 역할을 할 준비가 되어 있다.”


      5️⃣ 한국의 참여 전략 – ‘기술 외교 + 기후 연대’

      2025년 한국 정부는 APEC 회의를 통해 ‘AI와 기후를 잇는 한국형 기술 외교’를 본격적으로 선보일 계획입니다.

       

      📍 한국의 핵심 어젠다 제안 3가지
      1️⃣ AI 윤리와 데이터 신뢰성 협약 추진

      • 개인정보 보호 + 투명한 알고리즘 공개 원칙 제안
      • K-Digital Framework 모델 발표 예정

      2️⃣ 청정 수소경제 파트너십 확장

      • 호주·일본과 공동 수소공급망 협정 체결 추진
      • APEC 내 첫 ‘탄소중립 기술 허브’ 한국 유치 검토

      3️⃣ 청년 스타트업 네트워크 강화

      • APEC 스타트업 익스체인지(ASE) 프로그램 제안
      • 아시아 청년 창업펀드 1억 달러 규모 조성

      📈 기대효과:

      • APEC 내 기술협력 주도권 확보
      • 아시아-남미 시장으로 진출 교두보 마련
      • 글로벌 기업과 ESG 네트워킹 확대

      6️⃣ 2025 APEC 정상회의의 주요 일정 및 세부 프로그램

      📅 공식 일정표 (예정)

      11월 13~14일 고위관리회의 (SOM) 의제 조율 및 공동성명 초안 확정
      11월 15일 장관회의 (AEM) 무역·에너지·기후 부문 합의 도출
      11월 16일 정상회의 개막식 페루 대통령 기조연설, 한국 대통령 연설
      11월 17일 리마 선언 채택 “AI와 포용 성장의 미래” 비전선언 발표
      11월 18일 비공식 정상 만찬 미·중·한 비공식 회담 예정

      📍 행사장: 리마 컨벤션센터 (LCC, Lima Convention Center)
      📍 참가 규모: 21개국 정상 및 대표단 3,000여 명
      📍 비공식 포럼:

      • APEC CEO Summit 2025
      • Women in Economy Forum
      • APEC Startup Network Pitch Day

      💬 흥미 포인트:
      한국의 주요 대기업(삼성·SK·LG 등) CEO들도 APEC 비즈니스 서밋에 참석할 예정이며,
      AI·반도체·에너지 분야의 공동연구 및 ESG 협약이 동시에 추진됩니다.


      7️⃣ 2025 리마 선언의 전망 – APEC의 미래 방향

      이번 회의에서 발표될 예정인 ‘리마 선언(Lima Declaration 2025)’은
      앞으로 10년간의 APEC 경제협력 방향을 결정짓는 핵심 문서입니다.

       

      📌 리마 선언 초안 주요 문구(2025.10 공개안)

      “AI와 기후변화는 우리 시대의 양대 도전이다.
      APEC은 인간 중심의 기술 발전과 지속 가능한 성장을 통해
      모두를 위한 번영을 실현할 것이다.”

       

      📊 예상 선언 내용 요약:

      • AI·디지털 무역 규범화
      • 2050 탄소중립 로드맵 공동 실행
      • 중소기업·여성기업 포용정책 확대
      • 청년 인턴십 교류 2배 확대 (2026~2030)

      💡 특히 이번 선언은 기존의 ‘포용적 성장’에 더해 ‘지속 가능한 기술 발전’을 공식적으로 포함하면서
      APEC이 ‘기술과 인간의 공존’을 논의하는 최초의 경제협력체로 자리매김하게 됩니다.


      8️⃣ 2025년 APEC, 새로운 10년의 서막

      2025년 APEC 정상회의는 단순한 외교 이벤트가 아닙니다.
      이는 ‘기후 위기와 기술 경쟁이 교차하는 시대’에 21개국이 협력의 미래를 모색하는 전환점이 될 것입니다.

       

      📍 요약 정리:
      1️⃣ 2025년 11월, 페루 리마에서 개최
      2️⃣ AI·기후·공급망·스타트업 등 5대 핵심 의제 논의
      3️⃣ 한국은 기술 외교와 수소경제 협력 주도
      4️⃣ ‘리마 선언’을 통해 APEC의 2035 비전 제시
      5️⃣ 아시아태평양 협력의 새로운 시대 개막

       

      💬 전문가 코멘트 (서울대 국제대학원, 2025.10)

      “APEC은 단순한 무역회의를 넘어,
      이제는 인류 공동의 기술윤리와 기후연대의 장이 되고 있다.
      한국의 역할은 ‘연결자이자 촉진자’로서 매우 중요하다.”